저출산 문제, 요즘 굉장히 많이 들리는 키워드입니다. 출산율이 낮으면 한 국가의 타격이 가게 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만 현재 전 세계는 기후 변화에 더 관심이 쏠려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기후 변화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한국은 2021년 기준 0.81이라는 출산율을 기록했습니다. 이 정도의 인구 급감은 1300년대 흑사병 이후로 처음 겪는 역사적인 수치라고 합니다. 출산율이 낮으면 정확히 어떤 문제가 일어나는지, 왜 한국의 출산율이 낮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출산은 왜 문제일까?
간단하게 말해서 출산율이 저조하다는 것은 젊은 층이 감소하고 노년 층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들은 노동력을 제공하고 생산을 하며 기술혁신을 이루어내는 창의로운 생산적인 세대입니다. 이들이 있어야 경제력이 상승을 하게 되겠죠. 반면 노년층 즉 은퇴를 한 사람들은 생산활동을 멈추고 순수한 소비자로 전략하게 되는 사람들입니다. 즉, 젊은 사람들이 생산해낸 것들을 소비하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소비가 생산보다 훨씬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곧 GDP의 침체, 하락까지 이어지게 되는 일입니다.
90년대 때부터 출산율의 하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일본의 경우를 봐야 합니다. 일본의 경우는 GDP의 침체 및 하락이 벌써부터 관측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침체기 정도의 수준입니다만, 이 현상이 지속되면 GDP의 하락을 면할 수 없게 됩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게 되면 1995년 일본은 GDP의 정점을 찍게 되었으나 현재는 1995년 대비 10%가 하락했습니다.
출산율과 한 나라의 경제력의 연관성에 대해서 보려면 중국의 경우를 보면 됩니다. 중국은 1980년부터 2016년까지 One-Child Policy, 계획생육정책인데, 한국말로 직역하면 '한아이정책'을 실행하였습니다. (한국말로 직역한 게 개인적으론 좀 더 와닿는 것 같습니다.) 인구가 현재 14억 명이나 되는 중국은 어떨까요? 중국은 본인들이 생산하고 본인들이 소비해내는 탄탄한 내수경제를 달성하여 현재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로 급성장하였습니다. 이만큼 '인구'라는 것은 한 나라의 경제력에 얼마나 기여를 하는지 잘 볼 수 있는 한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인구 = 생산성입니다.
저출산의 원인
선진국일수록 저출산 현상이 심합니다. 한국은 그 경도가 더 심한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 선진국일수록 높은 직위의 여성이 많아지게 되며, 이들은 출산을 꺼리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임신을 하게 되면 커리어에 타격이 가기 때문입니다.
- 선진국일수록 부모들은 본인의 자녀가 대학에 가기를 원합니다. 그러므로 한 아이를 양육하는데 짊어져야 하는 경제적 부담감이 크게 작용하고 이는 어찌 보면 생존 본능의 일종입니다.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아이를 낳는 사회적 현상입니다.
- 사교육비가 굉장히 높은 한국은 이 현상이 더 심하게 작용합니다. 더불어 높은 집값이 한국 부모들의 양육비에 더 큰 압박을 불어 일으키게 됩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
유명 임상심리학 교수 조던 피터슨의 말을 들어보면, 인구 절감은 절대 선형적으로 서서히 내려가지 않고 급격하게 내려갈 것이라고 합니다. 이도 그럴 것이 생각해보면 5쌍의 커플이 각각 1명의 자녀만 낳게 되면 그 이후 세대는 50%가 감소한 5명의 인간이 남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한세대 한세대 엄청난 인구 급감을 맞이하게 됩니다. 요즘 사람들은 "어차피 지구엔 인구가 너무 많다 저출산 좀 있어도 괜찮다"라고 생각을 하는데 조던 피터슨은 그런 사상에 대해 "가장 끔찍한 집단학살적인 사상"이라고 코멘트했습니다. 현재 서방 국가는 당장의 인구 폭락을 앞두고 있지 않아서 출산율 저조에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진 않지만 정말 다행히도 매우 영향력 있는 인물이 이에 대한 코멘트를 하는 게 보입니다. 바로 일론 머스크입니다.
위의 트윗을 올리며 한국도 언급을 했지요. 그만큼 한국은 출산율에 있어 심각한 상태에 놓여있는 나라입니다.
우리 모두 일본의 상태를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은 전 세계 중 가장 노인 비율이 많은 나라입니다. 위에 언급드렸다시피 1995년 GDP정점을 찍고 10% 하락한 상태인데요, 향후 수십 년간 어떤 방향으로 일본이 나아가게 될지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해당 포스트는 조던 피터슨의 팟캐스트 인터뷰 중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일상 > food for thou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의 공통점 (1) | 2022.09.18 |
---|---|
넷플릭스를 통한 고급 영어 공부법 추천 (2) | 2022.09.15 |
블루보틀 vs 스타벅스 (0) | 2022.09.11 |
BTS military conscription (0) | 2022.09.03 |
강남역 침수 (0) | 2022.08.09 |